그리고 치료.
가족과 주위 사람들에게 큰 괴로움을 주는 코골이.
본인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까요?
놀랍게도 코골이는 단순한 소음 발생 뿐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을 흔하게 동반하고, 많은 합병증에 연계되어 있습니다.
코골이는 단순한 수면습관이 아닌, 치료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만족도 조사 결과*.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앓는 사람은,
수면 불만족 지수 41%, 수면 중 깨는 평균횟수 2.8회 이상 등의
다소 좋지 않은 수면 패턴이 확인되었습니다.
대표 증상*과 위험성.
고혈압, 심장질환, 폐질환, 뇌신경질환, 정신장애, 2배의 사망률.
수면무호흡증에 흔하게 동반되는 대표적 합병증입니다.
자신과 타인의 수면을 방해할 정도의 코골이와, 갑작스레 멎는 숨.
만성적인 피로와 주간 졸음에도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야합니다.
진단과 치료방법.
일반적으로 치료를 위해 수면다원검사를 진행,
코골이 빈도 및 혈중 산소농도, 심전도, 뇌파, 수면 중 호흡기능 등을 측정합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증상들의 심각성을 고려해 를 처방합니다.
구강장치는 심하지 않은 경증 및 중증 환자에 적용되나,
양압기 치료 실패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상대적으로 고통이 적고 편리하며, 부작용이 적습니다.
미국치과수면학회는 무호흡을 치료하기 위한 첫번째 방법이
구강장치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병원에서 가장 먼저 시작하게 되는 일반적인 치료법입니다.
압력으로 기도에 공기를 불어넣으며, 기도의 폐쇄를막습니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에 도움은 되지만 적응이 어렵고 산소 마스크의
사용, 유지 관리가 매우 번거로워
통상 50% 이상의 환자가 적응 실패로 치료를 포기합니다.
목젖을 제거하여 인두와 연구개를 단단하게 조이는 수술로,
기도 폐쇄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치료 방법과 병행합니다.
수술의 부작용과, 전신마취, 약물치료증가, 출혈, 통증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수술의 효과가 크지 않아 결국 지속적으로 다른 치료를 병행하는경우가 많습니다.
리스크가 가장 큰 방법이기에 수술의 필요성에 대한 결정은 의사와 상의하여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